본문 바로가기

이론 말고 진짜! 현장에서 바로 써먹는 마케팅 실행법

브랜드 운영 노하우 by mibe 2025. 4. 25.

목차

  1. 마케팅은 ‘홍보팀’의 일이 아니다
  2. 실무자도 마케터가 되는 순간
  3. 고객 접점에서 바로 할 수 있는 3가지
  4. 내부 커뮤니케이션이 곧 브랜딩이다
  5. 내가 속한 부서를 위한 ‘작은 마케팅’부터

마케팅노마드


🎯 마케팅은 ‘홍보팀’의 일이 아니다

회사에서 마케팅은 보통 ‘전담 부서’가 하는 일로 여겨지죠.
하지만 실제로는 모든 부서가 마케팅을 만들고 있어요.

  • 고객과 대화하는 CS
  • 제품을 기획하는 MD
  • 설명서를 만드는 콘텐츠팀
  • 제안을 보내는 기획자

이 모든 순간에,
브랜드의 이미지와 신뢰가 만들어지고 있어요.

✅ ‘고객의 관점’에서 생각하는 순간,
우리는 모두 마케터입니다.


💡 실무자도 마케터가 되는 순간

실무자들이 마케팅을 실행할 수 있는 순간은 많아요.

CS 자주 묻는 질문을 콘텐츠로 만들어 배포
기획팀 제안서에 ‘고객 입장’ 시나리오 추가
개발팀 사용자가 가장 궁금해할 UI 시나리오 설계
디자인팀 고객 눈높이에 맞춘 시각 언어 정리

✅ 즉, 고객의 머릿속에 우리 브랜드가 어떻게 남을지를
고민하는 모든 행위가 마케팅
이에요.


📌 고객 접점에서 바로 할 수 있는 3가지

💡 실행하기 쉬운 현장 마케팅

1. 고객 질문을 ‘카드뉴스’로 만들어 사내 공유하기 2. 영업자료에 ‘실제 사용 후기’ 1줄 넣기 3. 제품/서비스 매뉴얼을 “사람 말투”로 다시 써보기

👉 이 작은 변화들이
고객 입장에선 ‘이 회사, 뭔가 다르다’는 인식으로 연결돼요.


🧠 내부 커뮤니케이션이 곧 브랜딩이다

마케팅 부서

마케팅은 외부만 보는 일이 아니에요.
내부의 말투, 전달 방식, 공유 구조도 결국 브랜드를 만듭니다.

| ❌ 사내 문서 | “캠페인 실행은 금주 금요일까지 제출 바람”
| ✅ 브랜드다운 문서 | “이번 캠페인은 00의 마음을 얻기 위한 첫 시도입니다 :)”

내부 팀원도 브랜드의 첫 고객이에요.
내부에서 공감하지 못하는 마케팅은 외부에서도 힘을 잃어요.


🧩 내가 속한 부서를 위한 ‘작은 마케팅’부터

마케팅은 거창하지 않아도 돼요.
내 팀, 내 제품, 내 고객에게 의미 있는 표현을 찾는 것부터 시작하면 됩니다.

✅ 한 줄 아이디어

• 우리 부서의 일, 처음 보는 사람이 이해할 수 있을까? • 보고서를 브랜드다운 말투로 요약해보기 • 팀 내 가이드를 고객 언어로 바꿔보기 • 마감일보다 ‘고객이 언제 필요로 하는지’ 기준 잡기


 

“마케팅은 외부 고객에게만 하는 것이 아니라,
내부와의 커뮤니케이션, 동료 간의 표현,
그리고 일상 속 모든 접점에서 실행되는 사고방식이에요.”

지금 당신이 쓰는 이메일, PPT 한 장도
이미 브랜드의 일부일 수 있어요.


개인정보 처리방침 | 저작권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