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페르소나별 콘텐츠 주제 리스트 정리법

브랜드 운영 노하우 by mibe 2025. 6. 25.
우리 브랜드의 고객을 더 잘 이해하고, 그들에게 딱 맞는 콘텐츠를 만들고 싶다면?

 

페르소나별로 콘텐츠 주제를 정리하는 ‘리스트법’을 추천드려요.
이 글에서는 작은 브랜드도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실전 정리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목차

  1. 고객 한 명을 정확히 그려보는 법
  2. 고객의 하루 흐름에 맞춘 콘텐츠 주제 정리
  3. 고객의 목적에 따른 콘텐츠 구분법
  4. 주제를 리스트로 구조화하는 방법
  5. 구글 시트나 노션으로 관리하기

1. 먼저, '고객 한 명'을 정확히 그려보세요

페르소나를 막연히 ‘20~30대 여성’처럼 넓게 잡기보다는,
우리 콘텐츠를 보고 '진짜 반응할 한 명'을 설정해 보세요.

예를 들어,

“강남에서 소규모 꽃가게를 운영 중이고, SNS 마케팅에 서툰 33세 여성 자영업자”

 

이렇게 구체적으로요.

그 사람의

  • 고민
  • 일상
  • 자주 쓰는 말투
  • 자주 쓰는 플랫폼
  • 구매 행동 패턴

을 함께 메모해 두면, 콘텐츠 주제 정리에 훨씬 도움이 돼요.


 2. ‘고객의 하루’ 흐름에 맞춰 콘텐츠 주제를 분류해보세요

기획자가 여러 페르소나별로 콘텐츠 아이디어를 정리하는 모습

단순히 “정보성, 후기, 제품 소개” 같은 콘텐츠 유형보다는,
고객의 하루 흐름에 따라 필요한 콘텐츠를 생각해보는 게 더 유용해요.

예시로 정리해볼게요:


🔹 아침

  • “하루가 귀찮고 무기력할 때, 뇌를 깨우는 루틴 정리”
  • “출근 준비 10분 단축템, 이런 거 찾고 있었죠?”

🔹 낮 (업무 시간 중)

  • “업무 중 슬쩍 보기 좋은 5분 콘텐츠 모음”
  • “바쁠 때 도움이 되는 ‘자동화 마케팅 툴’ 리스트”

🔹 저녁 (퇴근 후)

  • “고객 응대에 지쳤을 때 보는, 사장님 공감 콘텐츠”
  • “혼자 사업하는 분들을 위한 힐링 타임 브이로그 모음”

3. 고객의 목적에 맞춰 콘텐츠를 3가지로 나눠보세요

‘주제’와 ‘형태’를 정하기 전, 이 3가지로 나눠보세요.
각각의 목적에 따라 콘텐츠 톤도 달라집니다.

문제 해결 “SNS 팔로워 안 늘 때 체크할 3가지” 조곤조곤, 실용적인 정보 전달
공감과 응원 “혼자 일하는 건 외롭지만, 혼자여도 잘 해내는 당신” 따뜻하고 감정적인 톤
행동 유도 “이런 콘텐츠 만들고 싶다면, 이 템플릿 써보세요” 구체적이고 실행 유도형

4. 이렇게 리스트화해보세요

마지막으로, 위의 방식들을 조합해 아래와 같이 리스트로 정리해보세요.

📌 타겟: SNS 마케팅이 어려운 30대 소상공인 여성

[문제 해결 콘텐츠]
- SNS에 올릴 글이 생각 안 날 때 사용하는 콘텐츠 포맷
- DM 답변이 어려울 때 쓰는 문장 모음

[공감 콘텐츠]
- 고객은 많지만 내 말 들어주는 사람은 없는 날
- ‘혼자 다 하려다 탈진한 날’에 필요한 위로 메시지

[행동 유도 콘텐츠]
- 이 콘텐츠 캘린더 템플릿 하나면, 한 달이 끝나요!
- 오늘 10분만 투자해서 만든 콘텐츠, 내일 DM 답장으로 이어집니다

‘구글 시트 or 노션’으로 구조화하면 좋아요

콘텐츠 주제 리스트를 구글 시트나 노션으로 관리하면

  • 매주 새로운 콘텐츠 아이디어를 정리할 수 있고
  • 같은 주제를 재활용하거나 업데이트하기 쉬워요.

한 번 리스트를 만들어두면,
매주 콘텐츠 제작에 드는 시간과 에너지가 크게 줄어요.

 

페르소나가 명확하면 콘텐츠는 훨씬 쉬워져요.
막막한 기획에서 벗어나, 딱 ‘그 사람’을 위한 콘텐츠를 만들 수 있으니까요.
우리 브랜드의 고객 한 명, 그 사람을 위한 콘텐츠 리스트.
오늘부터 한번 정리해보세요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저작권 정책